하루 3분 턱 스트레칭 으로 두통,어지럼증을 완화 시킨다
두통 혹은 어지럼증이 있을 때 대부분 사람들은 목·어깨 문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원인이 하나 더 있다. 바로 턱 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이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턱 관절의 긴장이
두통, 어지럼증, 안구 피로, 집중력 저하까지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은 스트레스·잘못된 자세·이갈이 때문에 턱이 굳어있는 경우가 많다.
단 3분의 턱 스트레칭으로도 증상 완화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정리해본다.
턱 관절은 머리·목·귀 와 모두 연결되어 있다
턱 관절은 두개골과 바로 붙어 있어서 주변에 중요한 신경이 밀집되어 있다.
●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 안면신경
● 교근·측두근 등 턱 근육
● 고막과 연결된 작은 근육들
이 신경들은 머리 전체와 얼굴 감각에 관여한다.
따라서 턱이 굳거나 긴장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쉽게 나타난다.
- 측두부 두통
- 안구 피로감
- 귀 먹먹함
- 어지럼증
- 목덜미 통증
턱은 단순히 씹는 도구가 아니라 머리 전체 긴장의 중심점이다.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면 턱 근육이 가장 먼저 굳는다
스트레스를 받게되면 우리의 몸은 무의식적으로 턱을 꽉 깨문다.
● 밤에는 이갈이
● 낮에는 치아 무는 습관
● 긴장하면 턱 근육에 힘이 들어감
교근·측두근은 머리 중에서도 강한 근육이기 때문에
이 근육이 굳어버리면 통증이 다른 부위로 전달된다.
특히 측두근이 긴장하면 바로 두통으로 이어진다.
턱 긴장이 목·어깨 통증까지 유발하는 이유
턱 관절은 고리(Atlas)와 축(Axis)이라는 상부 경추와 연결되어 있다.
턱이 굳으면 근육이 뒤쪽으로 당겨 목뼈 정렬이 틀어지고, 이로 인해
- 승모근 과긴장
- 목 디스크 압박 증가
- 어깨 결림
- 집중력 저하
까지 이어진다.
즉, 턱을 풀면 목·어깨 통증까지 개선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루 3분 턱 스트레칭이 주는 효과
연구에서는 간단한 턱 스트레칭만으로도
30~45% 수준의 두통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다.
1) 턱관절 압력 감소
근육 긴장이 풀리면 주변 신경 압박이 줄어든다.
2) 머리 무게 재분배
턱·목·어깨 긴장이 해소되면서 머리를 자연스러운 각도로 지지하게 된다.
3) 귀·눈 주변 혈류 증가
측두근이 이완되면 눈 피로, 귀 먹먹함도 개선된다.
4) 자율신경 안정
턱의 긴장이 풀리면 교감신경 항진이 줄어들어
긴장·불안 감소 효과가 동반된다.
집에서 할수있는 3분 턱 스트레칭
① 혀 올리기 스트레칭 – 30초
혀끝을 윗입천장에 붙이고
턱을 천천히 아래로 내린다.
측두근의 긴장이 즉시 풀린다.
② 엄지 턱 받치기 – 30초
엄지를 턱 밑에 대고
천천히 아래로 밀면서 개구 운동.
교근 이완에 가장 효과적.
③ 귀 앞 마사지 – 1분
귀 바로 앞(턱 관절 위치)을
손가락 두 개로 원을 그리듯 마사지.
턱의 열림·닫힘을 조절하는 근육이 풀린다.
④ ‘하품 자세’ 스트레칭 – 1분
입을 크게 벌리며 깊게 하품하는 동작을 모방.
턱·목·얼굴 전체 긴장이 풀린다.
어떤 사람이 특히 해야 하나?
- 자주 두통이 생긴다
- 아침에 턱이 뻐근하거나 이갈이가 있다
- 컴퓨터·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다
- 목 뒤가 자주 당긴다
- 집중력이 떨어지고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이런 사람은 턱을 풀기만 해도 증상이 빠르게 호전되는것을 경험할 수 있다.
두통·어지럼증의 원인이 무조건 “목”이라고 생각하면 놓치는 부분이 많다.
턱은 머리의 가장 강한 근육이 모인 곳이며,
이곳의 긴장은 머리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하루 3분의 턱 스트레칭만으로도
두통 감소, 목 통증 완화, 집중력 개선까지 기대할 수 있다.
작은 습관이지만 효과는 압도적으로 크다.